영업이익은 9조1834억원· 전년比 277.37%↑
반도체부문 매출 29.3조, 영업익 3.9조…일회성 비용 1.2조 추정
DX 매출 45조, 영업익 3.4조…MX 선전에 실적 방어
"파운드리 투자 규모 축소"…HBM3E 대량 공급 관건
[매일산업뉴스]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 사상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했지만, 반도체(DS) 부문은 일회성 비용 증가로 4조원에 못미치는 부진한 수익성을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에 연결기준 매출액 79조987억원, 영업이익은 9조1834억원으로 잠정집계됐다고 31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7.35%, 영업이익은 277.37% 각각 증가했다.
매출은 전 분기 대미 7% 증가하면서, 종전 분기 최대 매출인 2022년 1분기(77조7800억원) 기록을 뛰어넘었다.
순이익은 10조1009억원으로 72.84% 늘었다.
◇반도체 영업이익 3조8600억원 '부진'... 스마트폰 · TV사업 '선방'
3분기 실적을 부문별로 보면,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매출 29조2700억원, 영업이익 3조8600억원을 기록했다.
시장에서는 잠정 실적 발표 이후 눈높이를 낮춰 DS부문 영업이익이 4조원대를 예상했으나 실제로는 이보다도 낮았다.
삼성전자는 "DS 부문의 일회성 비용이 전사 영업이익과 시장 컨센서스의 차이보다 더 큰 규모였다"고 설명했다.
일회성 비용 규모를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않았으나 실제 실적과 시장 컨센서스(10조4000억원)의 차이를 감안하면 1조2000억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파운드리·시스템LSI 사업부의 적자가 1조원대 중후반으로 추정되는 점을 감안하면 메모리 사업부의 이익은 최대 7조원에 육박하며 선방한 것으로 보인다.
메모리의 매출은 22조27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2% 증가했다. AI와 서버용 수요에 대응해 HBM과 DDR5, 서버용 SSD 등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가 확대됐다.
시스템LSI는 매출 극대화와 재고 최소화 등으로 매출은 증가했으나 일회성 비용 증가로 실적은 하락했다. 시스템온칩(SoC)은 플래그십 제품의 신규 고객사 확보로 판매량이 증가했다.
파운드리는 모바일 및 PC 수요 회복이 기대보다 부진한 가운데 일회성 비용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실적이 하락했다.
다만 5나노 이하 첨단 노드 중심으로 수주 목표를 달성했고 2나노 게이트올어라운드(GAA) 프로세스 디자인 키트(PDK)를 고객사에 배포해 제품 설계가 진행 중이라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은 매출 44조9900억원, 영업이익 3조3700억원을 기록했다.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모바일경험(MX)은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신제품 출시로 전 분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성장했다. 플래그십 제품 중심 판매로 매출이 확대돼 두 자릿수에 가까운 이익률을 확보했다.
네트워크는 사업자 투자가 축소되고 비수기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매출이 감소했다.
영상디스플레이(VD)사업과 생활가전사업부의 매출은 14조1400억원, 영업이익 5300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상디스플레이(VD) 사업은 네오(Neo QLE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대형 TV 등 전략 제품 판매에 주력하는 한편 서비스 사업 매출을 확대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했다.
생활가전은 비스포크 AI 신제품 중심으로 프리미엄 제품 판매가 늘며 전년 동기 대비 개선됐다.
하만은 매출 3조5300억원, 영업이익 3600억원을 기록했다. 소비자 오디오 제품 판매 확대로 전분기 대비 실적이 개선됐다.
SDC는 매출 8조원, 영업이익 1조5100억원을 기록했다. 디스플레이는 중소형의 경우 주요 고객사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 대응으로 실적이 개선됐다. 대형의 경우 TV와 모니터의 견조한 수요를 바탕으로 전 분기 대비 판매량은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이 다소 감소했다.
◇ 4분기도 메모리 양극화…HBM3E 대량 공급 관건
4분기에도 스마트폰과 PC 등의 재고 조정과 AI 반도체 수요 쏠림 등 메모리 양극화 현상이 이어지는 가운데 세트 사업의 약세로 성장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DS 부문은 고부가 제품 판매 확대와 기술 리더십 확보에 집중하고, DX 부문은 프리미엄 제품 판매 확대와 AI 전략 강화를 통해 수익성 개선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메모리는 수익성 위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개선할 방침이다.
D램의 경우 HBM 판매를 지속 확대하고 서버용 DDR5는 1b 나노 전환 가속화를 통해 32Gb(기가비트) DDR5 기반 고용량 서버 수요에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 특히 삼성전자의 HBM3E 제품 대량 공급 여부가 실적 개선의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6세대인 HBM4의 경우 내년 하반기에 개발 및 양산을 진행할 예정이다.
낸드의 경우 8세대 V낸드 기반 PCIe 5.0 판매를 확대하고 고용량 QLC 양산 판매를 통해 시장 리더십을 강화할 계획이다.
파운드리 수주 확대 등 비메모리 사업의 적자 폭 개선도 관전 포인트다.
삼성전자는 다양한 응용처를 확대해 실적 개선을 추진하고 2나노 GAA 양산성 확보 등을 통해 고객 확보에 주력하고, SoC의 경우 '엑시노스 2400'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내년에는 2나노 양산 성공에 이어 메모리 사업부와 협력해 HBM 버퍼 다이 설루션을 개발, 신규 고객 확보를 추진할 방침이다.
한편 삼성전자의 1∼3분기 누적 매출은 225조원으로, 올해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최대는 2022년 302조원이다. 반도체 부문도 사상 처음으로 매출 100조원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DS부문은 고부가 제품 판매 확대 및 기술 지배력 확보에 집중하는 한편, DX부문은 프리미엄 제품 판매 확대에 주력하고 AI 전략 강화를 통해 수익성 개선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