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호기 인천∼도쿄 투입…밴쿠버 이어 미주·유럽 등으로 확장

[매일산업뉴스]대한항공이 '드림라이너'로 불리는 보잉 787-10(B78X) 1호기를 도입, 오는 25일 인천∼일본 도쿄 나리타 노선에 처음 투입한다고 22일 밝혔다.
787-10 기종은 보잉 787 시리즈 중 가장 크고 최첨단 사양을 갖췄다.
동체 길이는 68.3m로 보잉 787-9 대비 5m가량 늘어났다. 이에 따라 787-9보다 15% 더 많은 승객과 화물을 수송할 수 있다.
대한항공의 787-10은 프레스티지 클래스 36석, 이코노미 클래스 289석 등 총 325석으로 구성됐다.
좌석이 늘면서 787-10의 최대 운항거리는 1만1천175㎞로 787-9보다 1천400㎞ 정도 짧다. 이에 따라 여객 수요가 많은 중·장거리 노선에 모두 활용할 수 있다고 대한항공은 설명했다.
대한항공은 첫 787-10 운항인 만큼 787-9에서 오랜 경력을 쌓은 기장을 우선 투입하는 등 안전 운항에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1호기는 국제선 단거리 노선에 투입해 안정화 작업을 거친 뒤 캐나다 밴쿠버 노선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후 미주 서부와 유럽 등 수요가 견조한 노선에 투입할 방침이다.
대한항공은 이번 1호기 도입을 시작으로 오는 2027년까지 총 20대의 787-10을 운용할 계획이다.

대한항공은 787-10에서 최초로 선보이는 프레스티지클래스 좌석 ‘프레스티지 스위트 2.0(Prestige Suites 2.0)’은 한국의 전통미를 담았다. 조각보와 조선백자, 놋그릇 등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으로 우아함과 안정감을 살렸다.
승객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할 수 있는 디자인은 가장 큰 강점이다. 좌석 시트 길이는 기존보다 길어진 78인치(약 198㎝), 너비 21인치에 좌석 간 거리 46인치로 넉넉한 독립 공간을 갖췄으며, 등받이를 180도 눕혀 침대처럼 활용할 수 있다. 컵을 놓을 수 있는 테이블과 개인 물품 보관함, 휴대전화 무선 충전기, 220·110V 겸용 콘센트, 2개의 고속 USB-C 포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코노미클래스는 대한항공 ‘뉴(New) 이코노미’ 좌석을 3-3-3 배열로 적용했다. 선명한 색감의 짜임 패턴이 주는 색다른 분위기가 특징이다. 좌석 등받이를 최대 120도까지 젖힐 수 있고 다양한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머리 받침대가 있어 편의성을 높였다. 좌석 간 거리는 32인치, 시트 너비는 17.2인치다.
프레스티지 클래스(24인치)와 이코노미 클래스(13인치) 모두 4K 해상도를 지원하는 모니터가 탑재됐다. 기내 와이파이 서비스도 제공된다.

787-10은 동체에 알루미늄 합금 대신 탄소복합소재를 적용해 무게는 줄이고 내구성은 높였다. 이에 따라 기존 동급 항공기보다 좌석당 연료 소모율이 20% 이상 개선됐고 탄소 배출량은 20% 이상 줄었다.
또한 탄소 복합 소재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에 비해 부식 우려가 적고 습기에 강해 객실 내 습도도 한층 더 쾌적하게 조성된다.
787-10은 기존 항공기보다 기내 기압이 비교적 높다. 고강도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로 동체를 제작해 기체 내외의 기압차를 견딜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 항공기는 순항 중 기압이 고도 8000피트(2.44㎞) 이하 수준이지만, 787-10은 고도 6000피트 이하다. 한라산 정상(고도 6388피트)보다도 지상에 가까운 기압인 만큼 승객들이 더욱 편안한 비행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대한항공은 전했다.
날개와 엔진에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디자인과 기술이 담겼다. 날개 끝에는 와류(Vortex)를 방지하기 위해 공기 역학 성능을 대폭 향상시킨 ‘레이키드 윙 팁(Raked Wing Tip)’을 장착했다. 운항 중 공기 저항을 줄여 항공기가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연료 효율을 높였다.
또 엔진 후류로 인한 소음을 크게 줄인 제너럴일렉트릭(GE)의 첨단 엔진 'GEnx-1B74/75'를 장착했다. 엔진 덮개 뒤쪽에는 물결무늬를 닮은 셰브론 노즐이 적용됐다. 독특한 모양의 엔진 덮개 디자인이 엔진 후류로 인한 소음을 크게 줄였다.

이번 787-10에는 대한항공이 제작한 동체 부품도 적용됐다. 항공기 꼬리 부분에 장착하는 후방 동체 ‘애프터 바디(Aft Body)’, 날개 끝 장치인 ‘레이키드 윙 팁(Raked Wing Tip)’, 좌우 날개 아래 구조물인 ‘플랩 서포트 페어링(Flap Support Fairing)’이다.
이들 부품은 모두 부산에 위치한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에서 제작한다. 대한항공은 2006년부터 보잉의 국제공동개발파트너로 787 항공기 제작과 설계에 참여해왔다.
대한항공은 787-10 1호기를 국제선 단거리 노선에 투입해 안정화 작업을 거친 뒤 캐나다 밴쿠버 노선에 활용할 계획이다. 향후 미주 서부와 유럽 등 수요가 견조한 노선에 787-10을 투입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