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산업뉴스]도널드 트럼프 2기 출범을 앞두고 미중 갈등이 심화하고 통상정책의 변화를 예고하는 등 글로벌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한층 커진 가운데 국내 주요 기업들이 잇따라 경영전략회의를 열고 내년 사업 계획 점검에 나섰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오는 17∼19일 글로벌 전략회의를 열고 내년 사업 계획을 논의한다.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은 17∼18일,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19일에 각각 회의를 열 예정이다.
삼성전자 글로벌 전략회의는 매년 6월과 12월 두 차례 국내외 임원급이 모여 사업 부문별·지역별로 현안을 공유하고 내년 사업 목표와 영업 전략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누는 자리다.
한종희 DX부문장(부회장)과 전영현 DS부문장(부회장)이 각각 회의를 주관할 예정이다. 이재용 회장은 예년처럼 회의에 직접 참석하지 않고 추후 사업 전략 등을 보고받을 것으로 알려졌다.
회의에는 DX 부문은 200여명, DS 부문은 100여명이 각각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에서는 삼성전자의 근원적 경쟁력 회복 방안과 함께 갤럭시 S25 등 내년 신제품 판매 전략 및 사업 목표 등이 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주요 제품의 글로벌 공급 계획과 판매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등이 공유될 전망이다. 고환율 등 글로벌 경영 환경 변화에 따른 리스크 헤징 전략 등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현대차그룹과 LG그룹도 잇따라 회의를 열고 내년 사업 계획을 점검했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주 초부터 글로벌 권역본부장 회의를 열었다. 현대차는 장재훈 사장이, 기아는 송호성 사장이 각각 회의를 주재했다.
북미·유럽·중남미·중국·러시아 등 9개 권역 본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현대차 대표이사로 내정된 호세 무뇨스 글로벌 최고운영책임자(COO) 겸 북미권역본부장과 후임 북미권역본부장인 랜디 파커 전무도 회의에 참석했다.
회의는 올해 사업계획 점검, 내년 계획 검토, 권역 상황 공유 등을 주제로 토의 형식으로 진행됐다.
LG그룹도 이날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구광모 LG그룹 회장을 비롯한 LG 최고경영진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사장단 협의회를 열고 내년에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갈 경영 과제를 논의했다.
협의회에 참석한 최고경영진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본격 출범으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고 중국 기업들의 위협이 현실화되는 등 국내외 경영 환경의 위기감이 높아지는 것에 대한 인식을 같이하고, 구조적 위기 상황에서 새로운 성장 기회를 포착해 미래를 준비하고 집중력 있게 실행해야 한다는 데에 의견을 모았다.
특히 내년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본격 출범으로 예상되는 통상정책 변화, 지경학적 리스크, 산업 기술 트렌드 등 경영 환경 변화 시나리오를 면밀히 분석하며 사업에 미칠 영향을 살피고, 사별 대응 방안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중장기 미래 경쟁력, 지속가능성 관점에서 보다 치열한 고민과 속도감 있는 실행이 필요하다는 데에도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그룹은 내년 1월에 상반기 VCM(Value Creation Meeting·옛 사장단 회의)을 열고 새해 사업계획과 중장기 전략을 논의할 예정이다.
롯데그룹 유동성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증폭된 상황에서 열리는 이번 회의는 주력 업종인 화학, 유통 등의 부진 타개와 지속 성장 방안을 숙의하는 데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달 정기 임원인사에서 1년 만에 전무에서 부사장으로 승진한 신동빈 회장의 장남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 성장실장의 경영 보폭도 한층 넓어질 것으로 보인다.
신세계그룹은 비상계엄 선포됐다가 해제된 지난 4일 오전 갑작스러운 환경 변화에 따른 긴급 점검 회의를 진행했고, 이후에도 대외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밖에 HD현대, 한화, 포스코 등 주요 기업들도 국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고환율이 사업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중장기 전략짜기에 부심하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