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04-03 23:50 (목)
한화큐셀, 美태양광 발전사업 2건 매각 ... 발전소 턴키로 영역확대
상태바
한화큐셀, 美태양광 발전사업 2건 매각 ... 발전소 턴키로 영역확대
  • 김혜주 기자
  • 승인 2025.01.22 14: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콜로라도 등에서 개발·신축 중인 발전소 컨투어 글로벌에 매각
미국 콜로라도 주에 건설 중인 태양광 발전사업 전경. ⓒ한화큐셀
미국 콜로라도 주에 건설 중인 태양광 발전사업 전경. ⓒ한화큐셀

[매일산업뉴스]한화솔루션 큐셀부문(이하 한화큐셀)은 미국 콜로라도 주와 버지니아 주에서 개발 또는 건설하고 있는 2건을 글로벌 민자발전기업(IPP)인 컨투어 글로벌에 매각했다고 22일 밝혔다. 

컨투어 글로벌은 영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IPP로, 세계 최대 사모펀드인 KKR(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의 자회사다.

대신 한화큐셀은 매각하는 발전소가 모두 완공될 때까지 개발과 태양광 모듈 공급을 포함한 EPC(설계·조달·시공) 작업을 직접 수행할 예정이다.

한화큐셀은 태양광 제조업에 더해 발전소 턴키(설계·시공 일괄 진행)까지 사업영역을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매각한 태양광 발전사업은 총 446MW(메가와트) 규모로 완공되면 연간 845GWh(기가와트아워) 이상의 재생에너지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이는 미국에서 약 8만 가구에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콜로라도 주에 들어설 324MW 규모 발전소는 지난해 7월에 EPC에 착수했으며 오는 2026년에 완공돼 상업 가동에 들어갈 계획이다. 

버지니아 주에 들어설 122MW 규모 발전소는 개발 중이며 2026년부터 건설에 착수해 2027년 완공 및 상업 가동 예정이다.

한화큐셀은 사업 매각 후에도 발전사업의 개발과 EPC(설계∙조달∙건설)를 직접 수행할 예정이다.

또 미국 조지아 주에 건설 중인 북미 최대의 태양광 제조기지 ‘솔라 허브’에서 제조한 태양광 모듈을 포함해 주요 기자재를 조달하고, 발전소 준공 후 O&M(유지보수)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김익표 한화큐셀 GES사업부문장은 “이번 프로젝트 매각은 ‘토털 에너지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서 한화큐셀의 사업수행능력이 안정 궤도에 올랐음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북미 최대 규모의 태양광 제조 기지 ‘솔라 허브’를 바탕으로 제조부터 발전사업까지 차별화된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