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항공 등 협력사업 확대 및 ‘2030 부산 엑스포’ 유치 지지 요청
[매일산업뉴스]최근 미국이 반도체 지원법과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을 발표하며 첨단전략산업 등에 대한 미국 내 생산기업 지원에 나선 가운데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7일 반도체, 자동차 등 주요 산업별로 한·미 양국 간 동맹국으로서 상호 협력해야 할 과제들을 도출해 '한미 경제협력 10대 이슈'를 제시했다.
미국이 반도체, 전기차 등과 같은 핵심 산업에서 자국 내 생산 비중을 높이고 공급망도 북미 위주로 재편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 기업에 미국 세액공제 등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은 동맹국인 한국에 불합리한 요건이다.
이는 한국 기업이 미국에 투자를 확대하고 미국은 자국 내 생산시설을 유치하는 것을 방해하는 요건이므로, 한경연은 해당 보조금 요건 완화 등을 통해 양국의 상호이익을 도모해야 한다고 밝혔다.
①반도체지원법 보조금 신청 요건 완화 = 미국은 반도체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반도체 지원법'으로 자국 내 반도체 생산기업의 지원을 확대하고 있지만, ‘칩4 동맹’ 등에 따른 한미 협력은 미흡한 실정이다. 2020년 이후 글로벌 반도체기업들이 발표한 미국 내 투자계획은 40여건, 총 투자규모는 2천억 달러(약 247조3600억원)에 이르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반도체기업들의 미국 내 반도체 생산시설 건설에 차질이 없도록 미국 반도체 지원법의 반도체 시설 접근 허용, 초과 이익 공유 등 보조금 신청 요건의 완화가 필요하다.
②전기차 보조금 중 최종생산지 요건 유예 = 현재 IRA은 전기차 보조금 요건으로 최종 조립 조건, 배터리 핵심광물 조건, 배터리 부품 조건 등 동맹국이 단기간에 달성하기 어려운 조건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한경연은 ‘북미 최종 조립’ 세액공제 요건을 현대자동차 조지아 공장 완공 예상 시점인 2025년까지 유예하고, ‘핵심 광물과 배터리 부품’ 요건에 대해서도 FTA 체결국에서 동맹국으로 기준이 완화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한경연은 배터리, 디스플레이, 바이오 등의 한국 기업과 미국 기업 간 기술 개발과 투자에 대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③배터리 분야 합작법인을 통한 협력 = 배터리의 경우, 한국은 배터리 기업과 미국 글로벌 완성차 기업의 합작투자를 통한 협력이 늘어나는 추세를 이용해 북미 시장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고, 미국은 자국 내 투자 및 생산시설 확대의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보았다. 예컨대, LG에너지솔루션과 美 GM의 전기차 배터리 합작법인 ‘얼티엄셀즈’는 미국 내 공장 건설 계획을 발표하는 등 적극적인 투자 협력을 하고 있다.
④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협력 = 디스플레이에 대해서 한경연은 한미 기업 간 공급계약 확대 및 기술 개발 협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미국 애플은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에 3500PPI 수준 올레도스 제작을 요청하였으며, 삼성디스플레이는 OLED 핵심 소재 독점기업인 美 UDC와 공급계약 연장 및 소재 공동 개발 등 전략적 제휴를 강화하고 있다. 또한 중국과 OLED 기술 초격차 유지를 위해 지식재산권 보호에 대한 한미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⑤바이오 연구개발·제조에 韓기업 참여 = 바이오 분야에서는 연구개발 및 제조 분야 파트너로서 한국 기업의 참여 확대해야 한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9월 ‘국가 바이오기술 및 바이오생산 이니셔티브’ 출범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제약바이오 관련 제품의 미국 내 연구·제조·생산 독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미국 제약사로부터 의약품 생산을 위탁받은 국내 업체들에게 적잖은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어, 양국 정부 간 채널을 바탕으로 한국 기업의 미국 진출 지원과 한미 기업의 파트너십 강화가 필요하다.
국가 바이오기술 및 바이오생산 이니셔티브는 자국 내 바이오 생산기반을 구축하는 데 5년간 10억달러, 바이오 생산시설을 사이버 공격 등으로부터 막는데 2억달러, 전염병 대응에 필요한 원료와 항생제 생산제 4000만 달러 등을 투입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⑥국제 수소거래 활성화 및 민간 기술·투자 협력 = 수소 에너지의 경우, 한미 양국 정부가 청정수소인증과 기술기준, 표준 등 관련 제도의 정비와 함께 미래 국제수소 거래 활성화 방안 주도하고, 민간 분야에서 기술과 투자 협력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 예컨대,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DMI)과 미국 메사추세츠공대 전기자동차팀은 수소연료전지 오토바이 개발 위한 파트너십 체결하였으며, SK에코플랜트와 블룸에너지는 미국 병원에 연료전지를 공급하는 EPC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⑦UAM 기술협력·국내 상용화 양국 기업 공동참여 =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중심이 될 도심항공모빌리티 분야에 있어서는 한미 기업 간 AI, SW, 클라우드 기술협력 등을 통해 기술 개발을 선도할 필요가 있다. 현재 현대차는 미국 내 UAM 독립 법인 ‘슈퍼널’ 설립하고, 미국 글로벌 기업인 MS, IBM, Intel과 협력 추진하고 있다. 또한, 한경연은 국토부 주도하에 추진되고 있는 국내 UAM 상용화 프로젝트인 ‘한국형 도심항공교통그랜드챌린지(K-UAM GC)’에 SKT-Joby aviation 등 한미 기업 간 협력이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⑧로보틱스 민간 기술교류 강화 및 정부간 대화채널 정례화 = 로보틱스에 대해서는 민간 기술교류 강화 및 정부 간 대화채널의 정례화가 필요하다. 한미 양국 간 투자는 물론, 국내에 기업 간 리서치 센터 설립·관련 장비 업체 유치 유도 등 미국 원천 기술 도입을 적극 유도해야 한다. 한편 뉴욕소방청(FDNY)은 현대차그룹이 인수한 미국 보스턴다이내믹스가 개발한 로봇개 '스팟'을 2대 구매하는 계약 체결하고 미국 소방 현장에 투입 예정이다.
⑨우주·항공산업 민간 협력 확대 및 ATT 수주 지원 = 한경연은 한국 정부가 우주항공청설립추진단을 출범하여 ‘2045년 화성 진출’ 등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만큼, 우주개발 최강국인 미국과의 우주협력에 나서 한·미 동맹을 우주까지 넓혀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항공분야의 경우,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록히드 마틴과 컨소시엄 결성해 50조원이 넘는 경제효과가 예상되는 미국 공군 고등전술훈련기 도입 사업(ATT)에 도전하고 있는 가운데 양국의 협력과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⑩부산엑스포 유치 협력 = ‘2030 부산 엑스포’ 유치를 위해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재계의 유치 홍보 활동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미국 정부의 공식적인 지지를 요청해야 한다. 엑스포 유치는 스마트 혁신 강국으로서의 국가 브랜드 가치 제고 및 K컬처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경연 이규석 부연구위원은 “미·중 패권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한국은 자유주의 국가 간 동맹을 강화하고 중국과 북한의 위협에 공동대응하기 위해 미국과의 경제·안보 협력은 필수적 사항"이라며 "한국과 미국의 동맹관계가 기술협력과 투자로 이어져 양국 기업의 이익을 도모하고 한미 양국 간 상호이익이 될 수 있도록 협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