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유니콘 기업 가치 중 韓기업 비중 2019년 2.1% → 2023년 0.8%로 1.3%p 감소
[매일산업뉴스]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21일 주요국의 유니콘 기업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전 세계에서 차지하는 한국의 유니콘 기업 비중이 절반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니콘 기업은 기업 가치가 10억 달러(약 1조원) 이상인 비상장 스타트업 기업을 말한다.
조사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9∼2023) 전 세계 유니콘 기업 수가 2.7배(449개→1209개) 늘어나는 동안 한국의 유니콘 기업 수는 1.4배(10개→14개) 증가하는데 그쳐 한국 유니콘의 전 세계 비중은 1.0%p(2.2%→1.2%) 감소했다.
주요 국가별 유니콘 기업수는 대부분 증가했으며 비중이 증가한 국가는 미국(48.6%→54.2%), 인도(4.5%→5.8%), 프랑스(1.1%→2.1%), 이스라엘(1.6%→2.0%) 등이며 감소한 국가는 중국(24.3%→14.0%), 영국(5.3%→4.1%), 한국(2.2%→1.2%), 인도네시아(1.1%→0.6%) 등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5.6%p(218개→655개) 증가하며 전세계 유니콘의 반 이상을 차지했고, 중국은 감소 추세로 최근 5년간 10.3%p(109개→169개) 낮아졌다.
전세계 유니콘 기업의 가치는 2019년 1조3546억 달러에서 2023년 3조 8451억 달러로 183.9% 증가했다.
반면 같은기간 한국은 290억 달러에서 325억 달러로 12.0% 증가하는데 그쳤다. 전세계 유니콘 기업가치 중 한국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2.1%에서 2023년 0.8%로 5년 전에 비해 1.3%p 감소했다.
미국은 같은기간 4.6%p(48.8%→53.4%) 증가했고, 중국은 10.3%p(29.4%→19.1%) 감소했다. 프랑스, 호주, 이스라엘, 캐나다의 기업가치 비중은 증가하는 추세이고, 인도, 영국 등은 5년 전과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
업종별로 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유니콘은 이커머스(28.6%), 인터넷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21.4%), 모바일 및 통신(14.3%) 등 일부 업종에 집중되어 있었다. 최근 5년간 기업수가 증가한 업종은 인터넷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21.4%p↑, 0%→21.4%), 공급망, 유통, 배달 업종(7.1%p↑, 0%→7.1%), 모바일&통신(4.3%p↑, 10.0%→14.3%) 등이고 감소한 업종은 헬스케어(10.0%p↓, 10.0%→0%), 핀테크(2.9%p↓, 10.0%→7.1%), 관광(2.9%p↓, 10.0%→7.1%), 소매(2.9%p↓, 10.0%→7.1%), 이커머스(1.4%p↓, 30.0→28.6%) 등이었다.
한편, 세계적으로 유니콘이 많은 업종은 핀테크(21.3%), 인터넷 소프트웨어·서비스(18.9%), 이커머스(8.9%), 헬스케어(8.0%), 인공지능(7.6%), 공급망·유통·배달(5.5%), 사이버 보안(4.8%)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 유니콘 기업수는 주요 국가 대비 이커머스(28.6%), 모바일&통신(14.3%), 소매(7.1%) 업종의 비중이 높은 편이었다. 반면 핀테크(7.1%), 헬스케어(0%), 데이터 관리&분석(0%), 인공지능(0%) 분야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에 속했다. 한국의 유니콘은 주요 국가에 비해 데이터 분석 기술 기반 기업 보다 커머스, 통신, 유통 등 판매와 통신 서비스 측면에 치우쳐 있었다.
유니콘 기업은 혁신 촉진, 신산업 발굴, 고용 확대 등 다양한 순기능을 갖는다. 그래서 주요국은 스타트업 창업을 장려하고, 스타트업이 유니콘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각종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국내 유니콘의 글로벌 비중이 점차 작아지고 생태계의 순환이 정체되는 가운데 스타트업이 어떻게 하면 유니콘으로 활발하게 성장할 수 있을지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스타트업의 성장과 유니콘 증가를 위해서는 스타트업 성장 과정에서 원활한 투자가 필수”라고 지적하며 “이를 위해서는 CVC(대기업 벤처투자) 규제를 개선하고 스타트업이 해외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요 CVC 규제는 ▲지주회사의 CVC 지분 100% 보유 의무 ▲지주회사 CVC의 부채비율 제한(200%) ▲ CVC 조성 펀드에 외부자금 비중을 40%로 제한 ▲ 소속 기업집단 총수일가 지분보유 기업 투자금지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