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일산업뉴스]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CEO) 겸 한국배터리산업협회장은 5일 미국 신정부의 관세 정책과 관련해 "미국에 이미 많은 공장을 갖고 있어 선진입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사장은 이날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 개막 전 취재진과 만나 "미국 신정부의 정책은 근본적으로 미국 내 생산을 장려하는 것으로 이해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사장은 배터리 업황의 반등 시점에 대해 "1분기나 상반기 정도가 저점이 될 것으로 본다"며 "투자는 효율적인 방향으로 집행하는 기조를 유지하면서 진행할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 장기화에 대해 "수요가 줄고 있고 여러 변수가 많아 시장이 정리되고 수요가 늘어날 때를 대비해 잘 준비해야 하는 시간"이라고 해석했다.
앞서 김 사장은 캐즘 종료 시점으로 '2026년'을 전망한 바 있는데, 종료 시점이 미뤄질 가능성에 대해서는 즉답을 피했다.
김 사장은 "중국 업체도 열심히 잘하고 있다"면서도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역사를 써왔다는 자부심이 있고 그 증거로 가장 많은 배터리 관련 지적재산(IP)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시를 보면 46시리즈 제품, 리튬인산철(LFP), 셀투팩(CTP) 등 제품으로 많이 리딩(선도)하고 있는 것을 느낄 수 있다"며 "그런 것을 활용해 중국 업체와 경쟁에서 우위를 만들려고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반도체 산업에서 주52시간제 예외 조항이 논의되는 것과 관련해서는 "반도체도 그렇고 배터리도 그렇고 다 경쟁력을 가져야 한다"며 말을 아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