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리스마형ㆍ위임형 보다 앞서
취업하고 싶은 기업은‘월급’(29.6%)보다 ‘워라밸’(36.6%)
기업들 기부활동 절반 이상(50.3%) “모른다”

[매일산업뉴스]MZ세대(20,30대)들이 가장 선호하는 리더십 유형은 ‘소통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최근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MZ세대 827명을 대상으로 '기업(인)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가장 선호하는 경영진의 리더십 유형으로 10명 중 8명이 ‘소통형’(77.9%)을 선택했다고 10일 밝혔다.
소통형리더십이란 직원과 함께 고민하고 개방적 의사소통을 통해 의사결정을 하는 리더십을 말한다.
조사결과, 강한 카리스마를 바탕으로 신속한 결정을 내리는 ‘카리스마형’은 13.9%, 직원에게 권한을 위임하고, 업무 처리 시 자율성을 부여하는 ‘위임형’은 8.2%로 나타났다.
2030 MZ세대들은 기업의 긍정적 이미지 제고를 위해 필요한 요소로 ‘기업 내 조직원 간 소통 강화’(37.2%)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서 ▲적극적 투자 및 일자리 창출(29.7%), ▲좋은 제품과 서비스 생산(24.7%), ▲ESG 적극 실천(5.7%), ▲기업 역할에 대한 홍보(2.7%) 순으로 조사됐다.

최근 젊은 경영자들이 보이는 MZ세대와 적극적인 소통 행보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라는 평가가 70.2%에 달해, ‘부정적’ 평가(7.9%)보다 크게 높았다. 실제로 국내 주요 기업 경영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MZ세대와의 소통을 확대하고 있다.
전경련은 "MZ세대들은 생산과 투자, 일자리 창출 등 기업의 전통적 역할 이상으로 기업 구성원 간 ‘소통’을 중시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미래주역인 MZ세대들을 끌어안기 위해서는 기업들의 적극적인 소통 노력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MZ세대들은 취업하고 싶은 기업으로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보장되는 기업’(36.6%)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뒤이어 ▲월급과 성과보상체계가 잘 갖추어진 기업(29.6%), ▲정년보장 등 안정적으로 오래 일할 수 있는 기업(16.3%), ▲기업과 개인의 발전가능성이 높은 기업(10.4%), ▲기업 문화가 수평적이고 소통이 잘 되는 기업(3.8%), ▲사회적 기여도가 높은 기업(3.3%)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월급과 정년보장보다 개인의 삶을 중시하는 인식 변화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우리 기업에 대한 생각에 대해서는 비호감보다 호감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대체로 높았다. 대기업에 대한 호감도가 가장 높았으며(호감 64.4%, 비호감 7.1%), 중견기업(호감 51.2%, 비호감 7.8%), 공기업(호감 46.6%, 비호감 17.4%), 스타트업(호감 38.0%, 비호감 15.5%), 중소기업(호감 21.1%, 비호감 36.1%) 순이었다.

우리 기업들의 한국 경제 사회 발전에 기여도와 관련해서는 ‘기여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기여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비율보다 높았으며, 대기업(89.4%), 중견기업(80.0%), 중소기업(50.8%), 공기업(47.4%), 스타트업(47.3%) 순으로 나타났다.
향후 혁신‧성장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 기업에 대해서는 대기업(73.4%)이 중견기업(62.6%), 스타트업(59.4%)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랑의 열매’ 기부금의 약 70%가 기업(법인) 기부금으로 이루어지는 등 우리 기업들의 기부 활동이 활발한 상황이지만, MZ세대 절반 이상(50.3%)이 이러한 사실을 잘 모른다고 응답했다. 기업들의 기부 활동에 대해 ‘잘 모른다’고 응답한 비율이 40.5%로 가장 높았고, 이어 ‘약간 알고 있다’(39.1%), ‘매우 잘 알고 있다’ (10.6%), ‘전혀 모른다’(9.8%)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윤 전경련 CSR본부장은 “젊은 MZ세대들이 우리 기업과 기업인데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하면서 “다만 우리 기업들이 사회공헌이나 ESG 경영활동을 많이 하고 있음에도 이를 잘 모르는 경우가 많은데, 기업들의 적극적인 소통 노력과 함께 우리 사회에서 보다 많은 관심과 응원을 보내준다면 우리 기업들에게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